저신장

저신장


정상적인 소아의 성장 패턴
출생후 성장은 성장속도에 따라 4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두차례의 급성장기가 나타납니다.

태아기부터 2세까지의 제 1발육 급증기, 2세부터 사춘기까지 서서히 성장하는 시기를 거치고 사춘기에서 15~16세까지 제 2발육급진기를 지나고 나면 이후 성숙기까지 성장속도가 감소하는 시기를 거치게 됩니다.

01. 저신장이란?

정상 성장은 신체가 건강해야 가능하며, 따라서 키 및 체중은 소아의 건강상태를 판정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표준치에서 -2.0 SD(표준편차)이하 이거나 혹은 3백분위수 이하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즉 같은 성별, 같은 또래의 아이들 100명 중에서 3번째 이내로 키가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키가 작음을 주소로 병원에 오는 대부분의 소아는 정상적으로 키가 작은 아이들이 많습니다.

02. 저신장증의 증상과 원인

03. 저신장증 진단을 위한 검사

  • 혈액검사

  • 염색체검사

  • 갑상선 기능검사

  • 소변검사

  • 방사선검사
    (골연령측정)

  • 필요 시
    성장호르몬 유발검사

04. 저신장증의 치료

-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각 질환에 맞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 성장 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질환 및 개인별로 효과가 있습니다.
-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의사에게 치료받고 합병증 및 효과 유무를 판단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각 질환에 맞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 성장 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질환 및 개인별로 효과가 있습니다.
-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의사에게 치료받고 합병증 및 효과 유무를 판단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